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144

PLC 판넬 사용처, pc와 차이점, 주의사항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해서 PLC가 어떤 장치인지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어디에 사용되는지 설명을 하고 있다.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 다른 말로는 파워 로직 컨트롤러라고도 불린다. 다시 말해 전력제어장치라는 것인데 공장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로 프로그램만 사용해선 될일이 아니다. 판넬을 직접 만들어 pc와 연결하고 이에 따른 주의사항도 있다.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PLC 판넬과 PC의 차이점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로 재택근무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면서 프리렌서로도 일이 가능하기에 더욱 주목을 받고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많은 궁금증이 많아지는 추세인데 많이 질문을 받고있는 PLC 판넬 그리고.. 2023. 2. 16.
PLC 프로그래밍 자기유지란 무엇인가? 보조 릴레이 M 명령어란? PLC 프로그래밍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자기유지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자기유지를 꼭 알아두어야 하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PLC 프로그래밍 자기유지 스위치 종류 자기유지 프로그래밍 전에 스위치와 입력과 출력에 대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푸쉬버튼 스위치는 스위치를 손으로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신호(전기)가 발생한다.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신호가 정지한다. 스위치 내부에 스프링이 있어 눌렀다 떼면 스위치가 올라와 복귀가되는 것이다. 스위치를 누르면 A접점은 연결되고(ON), B접점은 끊어진다(OFF). 실렉트 스위치는 스위치를 한번 돌리면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푸쉬버튼과 다른 점은 한번 돌려놓으면 계속 유지가 된다는 것이다. 스위치를 반대.. 2023. 2. 16.
PLC 종류, 동작방식, 사용하는 이유 빠르게 발전하는 경제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세상에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놀라곤 한다. 그 중 최근 가장 관심이 있던 컴퓨터 프로그램은 바로 PLC였다. 관심을 가지고 PLC 관련 내용을 찾아보고 공부해보니 이제는 누군가에게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크다. 지금부터 PLC에 종류와 비동기식 동작방식 그리고 왜 이런 것들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PLC는 어떤 방식으로 동작할까? PLC는 프로그램 제어장치라고 불리는 산업용 컴퓨터로 알고있다. 공장자동화나 공정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는데, 특히나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장비라고 할 수 있따., 이처럼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는 PLC라고 하지만 아직은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개념일 것이다. 그래서 PLC.. 2023. 2. 16.
PLC란 무엇인가? 스위칭 동작, 디바이스 순서 PLC는 오늘날 설비의 자동화와 고능률화의 요구에 따라서 적용 범위는 확대가 되고있다. 특히 공장 자동화 그리고 FMS에 따른 PLC의 요구는 과거 중규모 이상의 릴레이 제어반 대체 효과에서 현재 고기능화, 고속화의 추세로 소규모 공장 기계에서 대규모 시스템 설비에 이르기까지 적용이 되고있다.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PLC란 무엇인가? PLC란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줄인 말이다.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이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여러가지 종유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전자 장치이다. 여러가지 종류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 2023.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