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LC 프로그래밍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자기유지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자기유지를 꼭 알아두어야 하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PLC 프로그래밍 자기유지
스위치 종류
자기유지 프로그래밍 전에 스위치와 입력과 출력에 대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푸쉬버튼 스위치는 스위치를 손으로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신호(전기)가 발생한다.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신호가 정지한다. 스위치 내부에 스프링이 있어 눌렀다 떼면 스위치가 올라와 복귀가되는 것이다. 스위치를 누르면 A접점은 연결되고(ON), B접점은 끊어진다(OFF). 실렉트 스위치는 스위치를 한번 돌리면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푸쉬버튼과 다른 점은 한번 돌려놓으면 계속 유지가 된다는 것이다. 스위치를 반대로 돌리면 신호는 정지된다. 스위치를 돌리면 A접점은 연결되고 B접점은 끊어진다.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전기 제어를 하다보면 입력과 출력이라는 말을 많이 하게 될 것이다. 입력은 INPUT 또는 IN, 출력은 OUTPUT 또는 OUT, 입력과 출력을 합쳐서 I/O(아이오)라고 한다. 입력 기기의 종류에는 스위치, 센서, 플루트 스위치, 실린더 자계 검출 센서, 풋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는데, 보통 입력은 어떠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것들이다. 출력 기기의 종류에는 모터, 램프, 형광등, 부저, 솔밸브, 모니터, 스피커 등이 있으며, 어떠한 동작을 위한 것들이다.
자기 유지 플그래밍을 하기전에 스위치 중에서 자기유지가 되는 스위치가 있다. 말 그대로 자기 혼자 유지를 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바로 실렉트 스위치와 비상정지 스위치가 대표적이다. 이 스위치는 한 번 돌려놓으면 사람이 손을 쓰지 않아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반대로 푸쉬버튼 스위치는 손으로 눌러주어야 그 동작이 지속된다. 이러한 푸쉬버튼을 사용할 때 자기 유지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푸쉬버튼 스위치를 한 번만 눌렀다 떼었을 때 동작이 유지되는 방법을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가기유지이다.
자기유지 프로그래밍 의문점
자기유지를 공부하고나면 한 가지 의문점이 생길 수 있다. 실렉트 스위치를 사용한다면 자기유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데 왜 번거롭게 푸쉬버튼을 사용하여 자기유지를 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만약 설비를 가동하던 중 정전이 발생했다면 설비 안에 남아 있던 제품을 수거하려고 할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전기가 들어와 설비가 가동을 하게 된다면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알 수 있다. 결국 담당자는 사고가 나게 된다. 실렉트 스위치처럼 자기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정전 발생 시 설비가 정지했다 다시 전기가 들어오면 즉시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푸쉬버튼을 사용하여 자기유지 프로그래밍을 하였다면 정전 발생 시 PLC의 전원이 꺼지고 프로그래밍이 초기화된다. 다시 스위치를 눌러 주지않는 이상 설비는 가동하지 않게 된다.
10HP짜리 모터가 수십 대 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정전 후 다시 전기가 들어올 때 실렉트 스위치라면 당연히 즉시 동작을 할 것이다. 이때 10HP짜리 모터 수십 대가 동시에 작동을 한다면 순간 전류가 부족하여 모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모든 안전에 관련된 상황을 대비해서라도 자기유지 프로그래밍은 필요로 한다.

보조 릴레이 M 명령어
릴레이는 전기 2개가 들어가면 스위치들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것이다. 푸쉬버튼 스위치는 사람이 손으로 눌러야 A접점이 붙고 B접점이 떨어지는 동작을 한다. 하지만 어떤 릴레이는 사람의 손이 필요 없고 전기에 의해 스위치가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 A접점 2개, B접점 2개인 스위치가 내장되어있는 릴레이가 표준이며, 해당 릴레이는 PLC가 나오기 전 수십, 수백 개를 장착하여 전기선을 연결해 설비를 가동시켰었다. PLC에서 릴레이란 스위치이기도 하고 출력이기도 하다. PLC 릴레이는 보조 릴레이와 보조 접점 그리고 M 명령이라고 말한다.
M 명령어는 실제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다. 그렇다면 왜 M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PLC의 출력카드가 언제라도 문제가 되엉 프로그램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PLC의 출력카드를 조금 더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다. 앞으로는 자기유지를 할 때는 꼭 M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전기회로 구성 부품 용어 의미 정리 AC DC BLDC 모터 (0) | 2023.02.17 |
---|---|
미쯔비시 PLC 종류, 교육,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3.02.16 |
PLC 판넬 사용처, pc와 차이점, 주의사항 (0) | 2023.02.16 |
PLC 종류, 동작방식, 사용하는 이유 (0) | 2023.02.16 |
PLC란 무엇인가? 스위칭 동작, 디바이스 순서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