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 제어 중에도 모터 도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은 전기기기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치제어 즉, 포지션 컨트롤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특히나 PLC 프로그램 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쉽게 구동을 시켜볼 수 있는 전자석 원리를 이용한 자석스위치도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위치 제어란
위치제어는 말 그대로 특정 대상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선풍기 바람 세기를 조절하거나, 세탁기 탈수 속도를 조절 또는 청소기의 흡입 세기를 조절하는 등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모든 기기들이 이런 위치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이 되고 있다. 게다가 자동차 운전이나 운항과 같이 정밀한 움직임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무조건적으로 적용이 되는 것이 바로 위치제어이다. 아주 쉽게 표현하자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겠다는 것이다. 모터라면 자신이 회전시키고 싶은 만큼 회전을 시키는 것과 같다. 정확히 5바퀴만 돌리고 싶다면 다섯 바퀴만 딱 돌리는 것이며, 1/4바퀴 90도만 돌리고 싶다면 딱 그 정도만 돌리는 것이다. 위치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DC 모터의 경우 엔코더를 이용해서 얼마만큼 에 회전을 했는지 피드백을 잘 받아 모터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자기 유지회로
전기회로 중 하나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두 개의 회로소자가 동시에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로이다. 한마디로 A접점 도는 B접점 둘 중 하나라도 OFF가 된다면 다른 한쪽 접점도 같이 OFF가 되도록 구성이 되어있는 것이다. 보통 릴레이 코일 전원 공급용으로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이 외 여러 가지 방법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입력이 0일 때 출력도 0이고 입력이 1일 때 출력도 1인 회로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입력이 0일 때 출력은 0을 유지할 것이고 입력이 1로 바뀐다면 출력도 1로 바뀔 것이다. 그런데 입력이 다시 0으로 된다고 해도 출력을 0으로 바꿔주는 것이 아니라 그 전의 1의 신호를 LATCH 시켜놓는 것을 자기 유지 회로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시퀀스 회로에서 정상일 때 0이고 고장일 때 1이라고 한다면, 평상시에는 0을 유지하다가 고장이 발생하면 1이 되는데 고장이 발생된 것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다면 다시 0으로 바뀌게 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아주아주 쉽고 짧게 말하자면, 기억을 시키는 회로라고 생각해도 좋다.
자석스위치(마그네트 스위치)
전자석 원리를 이용한 스위치 중 하나이다. 전류가 흐를 대 자력이 발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자성을 띄어주는 특징이 있다. 이런 특성 때문인지 타이머 용도로 자주 이용이 되곤 한다. 전자접촉기도 결국에는 스위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런 스위치 개념은 모두가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스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전류를 흐르게 하고 우너치 않을 경우에는 차단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스위치가 아닌 전자접촉기라는 이름에 붙는 이유는 아주 정확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자접촉기인 마그네트스위치(자석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제품을 자동제어 할 수 있다. 게다가 아주 강력한 부하가 발생했을 때 전자제품 전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주기도 하며, 동시에 내구성은 더없이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뜻 무엇인가요? (0) | 2023.02.20 |
---|---|
PLC 판넬 파워 서플라이 고장 증상 원인 (0) | 2023.02.17 |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PLC) 콘솔형 윈도우즈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사용 (0) | 2023.02.17 |
4차 산업혁명 스마트팩토리 PLC 종류 (0) | 2023.02.17 |
PLC 전기회로 구성 부품 용어 의미 정리 AC DC BLDC 모터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