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있기에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삶에 한 부분에 크게 자리를 잡고 있으며, 지금은 어린 나이에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면서 빠르게 컴퓨터 지식을 습득하고 있다. 그러면서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새로운 과목이 생겨났고 이런 현상은 앞으로는 지금보다 배로 빠른 발전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 암시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 중 C언어라고 들어보았을 것이다. 아마도 프로그램 공부를 해보았다면 한 번쯤 무조건 들어 익숙한 단어인데, 해당 C언어라는 것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언어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C언어는 코딩계의 수학이라고 표현 할 만큼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래서 이번 주제는 프로그래머라면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하는 필수 지식으로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PLC)에 대한 설명을 해보이도록 하겠다.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란
아주 쉽게 이해하자면 보통 컴퓨터를 이용할 때 키보드 자판을 누른다면 모니터 화면에 글자가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하는 장치라고 설명해볼 수 있다. 예를들어 한글 파일을 실행할 때 메모장 창이 뜨면서 파일 내용이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는 크게 두가지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첫번째는 콘솔(CONSOLE)형과 두 번째는 윈도우즈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형식 이다. 그렇다면 콘솔과 윈도우즈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무엇일까? 앞으로 알아볼 내용이 너무나도 많기에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보이도록 하겠다.
콘솔형이란 무엇인가?
콘솔형은 쉽게 말해 게임패드와 같은 느낌으로 이해할 수 있다. PC 본체 뒷면에 사용하는 형태이다. 보통 그래픽카드 회사에서 제공하는 API 함수들을 이용하는게 대표적이다ㅓ. 엔비디아사의 CUDA 기술이 있으며, AMD사의 OPENCL 등이 있다. 최글 출시가 되고있는 고사양 GPU 들은 대부분 쿠다 코어를 내장하고 있어서 별도의 하드웨어가 없어도 가속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즈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란 무엇인가?
윈도우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운영체제인 것은 모두가 알 것이다. 윈도우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기 보다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이를 위해서 미리 정의되어있는 여러가지 동작 방식을 묶어 놓은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API라고 부른다. 특히 비주얼 스튜디오에서는 개발자가 자주 사ㅓ용하는 코드를 모아두어 따로 저장해두고 편리하게 호출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는 표준화 되어있는 규격이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콘솔 그리고 윈도우즈용 API 중 무엇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을까? 살펴보도록 하겠다.
콘솔형보다 윈도우즈용 API를 많이 쓸까?
콘솔보다 윈도우즈용 API를 많이 사용할지 아닐지에 대해서는 성능상에 문제로 판단해볼 수 있다. 콘솔형은 CPU의 연산능력에만 의존을 하다보니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윈도우즈용 API는 메모리 주소 공간ㄴ을 공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훨씬 빠른 속도로 처리를 할 수 있다. 게다가 모든 OS에서 지원을 한다는 장점도 있으며 호환성 측면에서의 이점이 있다. 이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또한 비슷한 개념으로 아직까지는 대중화가 되지는 않아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프로세서를 장착한 시스템에서는 콘솔형을 사용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특정 목적을 위해서 특수한 환경에서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거나 서버급 장비같이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한다면 콘솔형보다는 윈도우즈용 API가 적합할 것이다.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판넬 파워 서플라이 고장 증상 원인 (0) | 2023.02.17 |
---|---|
시퀀스 위치 제어 자기유지회로 자석스위치 (0) | 2023.02.17 |
4차 산업혁명 스마트팩토리 PLC 종류 (0) | 2023.02.17 |
PLC 전기회로 구성 부품 용어 의미 정리 AC DC BLDC 모터 (0) | 2023.02.17 |
미쯔비시 PLC 종류, 교육,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3.02.16 |
댓글